대학수학능력평가는 이미 학력고사가 되었다
학력고사의 폐단을 없애고, 단순 암기식 지식습득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 대학수학에 필요한 능력을 가졌는지 평가하겠다는 목적으로 대학수학능력평가(이하 수능)가 도입되었다. 대학은 수능의...
Think Educationalization
학력고사의 폐단을 없애고, 단순 암기식 지식습득에서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길러 대학수학에 필요한 능력을 가졌는지 평가하겠다는 목적으로 대학수학능력평가(이하 수능)가 도입되었다. 대학은 수능의...
내신등급, 수능등급… 이놈의 상대평가로 갈려진 등급은 사람이 가진 가능성과 능력을 부정하고, 가축과 같은 쓸만한 상품인지 아닌지 구분짓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국가교육과정에 따른 의무교육을 포함한 국가주도의 교육을 public education 이라 하는데, 그대로 번역해 공교육이라고 부르고 있다. 공교육 public education 의 상대되는...
대학은 부끄러워해야 한다. 인재를 선발할 능력도 없으면서, 양성을 하겠다고 한다. 지금의 대학은 대학수학능력평가가 없이는 어떤 인재도 뽑을 수 없다. 자신들이...
학생 사이의 일회성 다툼과 지속적 괴롭힘이 그냥 학생폭력으로 묶여서는 안된다. 다툼은 문제 해결의 방식 중에 하나이다. 의견이 다를 때 사용할...
한때, 무상급식 관련 논란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시장이 물러나는 일도 있었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식사제공이므로 학교급식이라고 해야 한다. 무상이라는 접두어는 비용의 지불 형태를...
‘학교폭력’이란 잘못 만들어진 언어로 학교와 무관해도 학교에게 책임을 떠넘기도록 짜여진 프레임을 깨야 한다. 폭력은 깔끔하게 법집행 기관에서 해결하면 된다. 가해학생의...
만약, “우리와 같은 중학교에 다니던 윤석이 기억나? / 아, 우리반 왕따였던 윤석이?” 로 흘러가는 대화에서 별다른 불편함을 발견할 수 없다면,...
학교폭력으로 잘못 정의되면서, 청소년폭력 = 학교책임으로 오롯이 떠넘겨졌다. 만약, 지엄한 법정에서 재판장을 통해 다루었다면 어땠을까? 염치없는 가해자에게 충분히 복수하고, 피해자를...
학생폭력을 다룰 때, 놓쳐서는 안될 관점이 있다. 학교는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을 떠나 교육주체인 학생의 입장에 설 수 밖에 없다. 당연히 피해를...